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예술적 작품을 보면 미치는 사람 : 스탕달 증후군 우리는 가끔 미술관이나 전시회를 가서 예술 작품을 구경하곤 합니다. 그리곤 생각하죠. " 이게 예술이라고? 이게 뭐가 멋있는 거지? " " 그림이 1억..? 아니 10억..? 이걸 도대체 왜 사는 걸까? 왜 그러는 걸까요 왜 사람들은 예술 작품에 미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기는 심리학에 정선생님입니다. 예술 작품을 보면 흥분을 넘어 호흡 곤란까지 오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요. 오늘은 왜 그러는지 도대체 예술작품에 왜 그렇게 열광하는지 " 스탕달 증후군 " 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스탕달 증후군이란 스탕달 증후군 (Stendhal Syndrome) 예술과 미술 작품 등 아름다운 예술 작품을 감상하다가 갑작스럽게 느끼는 신체적, 정신적 반응으로서 현실과 예술 세계 사이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2023. 7. 30.
자주 보면 정말 좋아질까 ? : 에펠탑 효과 누구나 한번쯤 들어본 말이 있습니다. " 자주 보면 정든다 " " 보다보니까 괜찮은 사람 같은데? " " 처음엔 별로였는데 보다 보니까 예쁜거같아. " " 허구한 날 붙어있는데 정분이 안나겠어 ?! 당장 떨어져 " 자주 보면 좋아진다. 안녕하세요. 이기는 심리학에 정선생님입니다. 오늘은 자주 보면 정들고 좋아지는 이유 " 에펠탑 효과 " 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에펠탑 효과란 에펠탑 효과 어떤 대상이 사람들에게 친숙하지 않을 때 그 대상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는 사회심리학적 현상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처음에는 싫어하거나 무관심했지만 대상에 대한 반복노출이 거듭될수록 호감도가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단순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 라고 부르기도.. 2023. 7. 29.
진짜 약도 효과가 없을 수 있다 : 노시보 효과 여러분은 플라시보 효과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꺼라 생각합니다. 가짜 약 효과라고는 하는 플라시보 효과는 아무런 효과가 없는 가짜 약을 환자가 진짜 약이라고 믿으면 증세가 호전되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반대로 진짜 약이라도 내가 이걸 약이라고 믿지 않는다면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는 심리학에 정선생님입니다. 오늘은 진짜 약도 효과가 없을 수 있는 " 노시보 효과 " 에 대하여 알려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노시보 효과란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 의학 및 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믿음과 기대가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노시보"는 라틴어로 "해로운 것"을 의미하며, 이는 "플라시보(Place.. 2023. 7. 28.
사주나 타로가 맞다고 느껴지는 이유 : 바넘 효과 " 나 O형인데 O형 특징이랑 완전 똑같아 대박이지 않아? " " 너 MBTI가 뭐야? 뭐? ENTP? ㅋㅋㅋ 대박 너 완전 ENTP 같긴 했어 " " 사주 봤는데 나는 사업하면 안 되는 사주래.. 어쩐지 사업하려고 하면 꼭 잘 안되더라 내 팔자는 정해져 잇었나 봐.." 혈액형 타로 사주팔자 MBTI 등 요즘 우리는 다양한 심리테스트를 통해 성격을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 하기도 합니다. 듣다 보면 정말 맞는 말 같고 이 사람은 신기가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 정말 다 맞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기는 심리학에 정선생님입니다. 오늘은 테스트를 하기만 하면 모두 내 얘기 같은 이유를 알기 위해 심리적 경향 "바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바넘 효과란 바넘 효과(Barnum effec.. 2023. 7. 27.